여의도연구원

여의도연구원 소식

[보도자료] 2015 청년가치관 조사: 대한민국 청년이 말하는 성공, 가족, 결혼, 친구, 대학, 취업, 직장

여의도연구원2015.06.15

 

1. 여의도연구원(이사장 김무성) 청년정책연구센터는 전국 5대 권역의 20대 남녀 5,281명을 대상으로 2015년을 살아가는 청년들의 사회·경제 가치관을 조사하였다. 이번에 발간된 ‘청년가치관 보고서Ⅱ’는 ▲사회 ▲사회 문제의 해결 주체 ▲부(富) ▲복지 ▲젠더(Gender, 性)에 대한 가치관 설문조사와 FGI(Focus Group Interview), 해외 청년연구 사례가 포함된 심층조사 레포트이다.

 

2. 본 보고서는 청년들이 정부와 사회 등 기성체제를 불신하고 있는 현실을 진단하고, 청년이 바라는 정부와 사회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 정책자문연구원이 직접 뛰어다니며 대한민국 사회와 경제에 대한 청년들의 속 깊은 이야기를 듣고, 이념 정치를 넘어 청년들의 삶과 생활을 함께 고민하는 ‘생활 정치’로의 변화를 모색하고자 했다.

 

3.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김무성 여의도연구원 이사장(새누리당 국회의원)은 “정부와 사회에 대한 청년들의 불신도가 높다. 청년들은 취업 전쟁으로 인해 지쳐 가는데, 정부와 사회가 이념 정치와 당파 정치에 머물러 청년들의 삶을 돌아보기 않기 때문이다. 신뢰할 수 있는 대한민국, 청년이 살기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이념 정치를 벗어나 청년들의 생활 속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생활 정치’로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 사회·경제 가치관 5대 특징 -

 

1) 세월호 땐 맥목춘 정부, 메르스 땐 맥 못잡는 정부

 

2) 사회 문제 해결의 책임은 어디에… ‘응답하라 2015 정부’

 

3) 대한민국 사회에서 ‘돈’ = ‘절대 반지’

 

4) 2015 가족 트렌드, ‘아빠가 돌아왔다’

 

5) 퍼주기 복지, 먹을 땐 ‘순하리’, 먹고 나선 ‘독하리’

 

1) 세월호 땐 맥목춘 정부, 메르스 땐 맥 못잡는 정부

대한민국 사회에 대해 2명 중 1명(54.9%)이 ‘완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세월호 참사 1년 동안 대한민국 사회가 개선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은 72.3%에 달했다. 특히 가장 변화를 바라는 분야로 정치와 정부를 꼽는 등 사회에 대한 불신도가 높았다.

 

2) 사회 문제 해결의 책임은 어디에… ‘응답하라 2015 정부’

청년들은 실업(73.6%)과 빈곤(63.5%), 자살(33.9%)의 책임은 정부에게 있으며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특히 자살을 생각해본 32.8%의 청년들은 가장 큰 이유로 취업과 미래에 대한 불안(23.3%)을 꼽았다.

 

 

3) 대한민국 사회에서 ‘돈’ = ‘절대 반지’

10명 중 9명(91.3%)은 성공을 위해 돈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더 나아가 대인관계, 결혼, 교육, 건강에까지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다. 특히 15.6%는 배우자 선택에 있어서 경제력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현실 속에서 합법적으로 부를 축적하는 것은 어려우며(31.3%), 2명 중 1명(49.6%)은 미래에 희망하는 만큼의 부를 축적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4) 2015 가족 트렌드, ‘아빠가 돌아왔다’

 

2명 중 1명(56.2%) 가사에서 남녀의 역할을 구분하는 것에 반대했으며, 41.2%는 남성도 육아를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가정의 영역뿐만 아니라 직장의 영역에 있어서도 남녀 역할 구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65.8%)고 응답했다. 그러나 62.1%가 사회 곳곳에서 남녀의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응답했다.

 

 

5) 퍼주기 복지, 먹을 땐 ‘순하리’, 먹고 나선 ‘독하리’

 

절반 이상의 청년들(54.3%)이 누구에게나 수혜가 주어지는 보편적 복지가 아닌, 꼭 필요한 사람에게 수혜가 돌아가는 ‘선별적 복지’를 바란다고 응답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초중등 무상급식(56%)과 영유아 무상보육(49.5%)도 선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